Author

Topic: [ANN][ICO] Cube - 자율주행차를 위한 보안 플랫폼 (Read 129 times)

jr. member
Activity: 72
Merit: 2
Bloger & youtuber
아직 이해하기는 어렵지만 멋집니다. 자율주행차^^
full member
Activity: 252
Merit: 100
Translator Korean/English
큐브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유튜브 동영상입니다. 큐브는 자율 주행차의 IoT 보안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퍼블릭 블록체인/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더불어 인공지능을 이욯하여 공격자를 방어하는 시스템입니다



유튜브 동영상
full member
Activity: 252
Merit: 100
Translator Korean/English
자율 주행차 보안 플랫폼 큐브의 한글 백서입니다



한글 백서
full member
Activity: 252
Merit: 100
Translator Korean/English



큐브 토큰을 지갑에 받은 후에, 참여자는 다음의 시장 중 두 군데에서 토큰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EtherDelta 이더델타
Kucoin 쿠코인
Huobi 후오비
Tidex 티덱스
Coinexchange 코인익스체인지
Gate.io 게이트
Bithumb 빗썸
Coinone 코인원
Upbeat 업비트
Coinbee 코인비

===

우리의 계획은 두 방향으로 마케팅을 진행합니다.

1) 자동차 회사
2)  구글와 우버같은 새로운 도입 자동차 지역 회사

1) 자동차 회사
우리는 다이믈러, 포르쉐, 현대, 토요타와 함께 작업할 것입니다.
이 모든 회사들은 블록체인을 수용하길 원하지만, IT 회사들이 아닙니다.
우리 회사는 첫 우선순위입니다. 우리 회사는 IT 배경과 함께, 자동차 시장에서 15년 이상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우리는 자율 주행차에 투자하는 우버와 대화를 나누고 있습니다. 
 우리는 ICO 라운드를 종료할 때 시장 확장을 준비하고 있고, 또한 구글과도 연락을 할 것입니다.

3)우리의 목표
 우리의 창업자, Bong H. Lee는 두 자동차 기술 회사를 설립했고, 그는 잠재적 회사에 성공적으로 팔았습니다.

예) 그린카의 지주들은 70배 이상 수익을 얻었습니다 (5백만불 시가 총액으로 투자한 지주들은 지금 3억5천만불 시가 총액으로 바뀌었습니다).

full member
Activity: 252
Merit: 100
Translator Korean/English
큐브팀의 경험에 관련된 블로그 기사입니다. 큐브 팀이 어떤 경험을 가지고 이 프로젝트를 준비했는지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큐브 팀의 경험
member
Activity: 126
Merit: 10
Cube Intelligence
great! Thanks!
full member
Activity: 252
Merit: 100
Translator Korean/English
큐브는 자율주행차를 위한 블록체인 보안 플랫폼입니다. 블록체인에 대한 핵심은 신뢰를 보장하는 기술입니다. 큐브는 자율 모바일 네트워크의 보안을 보장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합니다.

요즘에, 자동차는 수맥만줄의 코드가 넘는 소프트웨어 덩어리입니다. 자동차는 더욱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자율주행차는 자기운전을 위해 상당히 네트워크에 의존해야만 합니다. 네트워크 네비게이션 라우트, 교통 정보, 차량 대 차량 정보 및 원격 ECU 업그레이드를 사용합니다.

이점은 자율주행차가 해킹될 수 있는 상당한 위험을 갖습니다. 아마도 아무도 한번이나 두번 해킹 바이러스에 고통받지 않았을 것입니다. 자주적인 차량이 해킹되면, 엄청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큐브는 자율주행차가 해킹되는 것을 보호하는 보안 시스템을 만듭니다. 과거의 방법이 해킹을 예방하지 않은 것과 달리, 우리는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합니다. 블록체인 적용은 당신이 동신에 수백 수천의 컴퓨터를 해킹하지 않으면 전혀 해킹되지 않습니다. 큐브는 블록체인, 인공 지능, 및 퀀텀 해시 암호화 기술을 사용합니다.




팀 멤버는 세 카테고리로 나뉘어 질 수 있습니다. 첫째는 자율주행차 커뮤니케이션 부문을 위한 팀입니다. 전세적으로 자율 주행차는 카네키 멜론 대학의 컴퓨터 공학과에 의해서 1995년에 처음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 과의 세 명의 멤버와 한 명의 MIT 인공 지능 학생이 CUBE의 핵심 멤버입니다.

두 번째 카테고리는 블록체인 개발 팀입니다. 두 핵심 개발자는 삼성 전자에서 왔습니다. 최씨는 삼성 전자의 클라우드 개발 팀의 프로젝트 매니저이고, 이건씨는 삼성 인공 지능 개발 팀의 헤드였습니다.

세 번째 카테고리는 차량 팀입니다. 토마스 호프만과 지그프리드 오트마이어, 그리고 쟝 필립 호스트는 개발자로서 다이믈러, 포르쉐에서 일했습니다.

블록체인 레이어

큐브는 자율 모바일 네트워크의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자율주행차 안전에 기존의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데 다양한 어려움이 있습니다. 블록체인 실체는 높은 오버헤드와 낮은 확장성으로 애로가 있습니다. 큐브는 하이브리드 블록체인로 기존의 블록체인 기술의 이러한 한계를 해결합니다.

자율주행차 운영에서, 많은 사물인터넷은 자율주행차에 정보를 제공합니다. 공격자는 자율 주행차와 사물 인터넷 혹은 교통 센터 간의 네트워크에 엑세스 획득을 찾고, 다수의 차량에 맬웨어를 주입시키는 목표로 소프트웨어 바이너리를 조작합니다. 그런 경웨, 주입된 바이너의 해시는 소프트웨어 제공자와 OEM에 사인된 멀티시크 트랜잭션에 포함된 해시와 다릅니다. 그래서, 차량은 전염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의 설치 전에 그러한 공격을 전염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설치 전에 미리 감지할 수 있습니다.

AI 딥 러닝 레이어

두 번째는 AI 레이어입니다. 지금까지, 네트워크 보안은 지난 해킹 케이스를 예방하기 위해 패치를 수집하는 수동적 시스템입니다. 큐브는 1차적 케이스로 과거의 감독 모드를 배우고, 수 억번 행해질 만한 악의적인 공격 시나리오를 만듦으로써, 해킹에 반한 방어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차량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딥 신경 망을 사용한 큐브의 침입 방어 시스템은 두 가지 타입을 가집니다. 아키텍처가 활용되는 방법에 따라서 식별적 딥 아카텍처와 생성적 딥 아키텍처입니다. 사전 트레이닝 후에, 미세 조정은 감독된 러닝과 함께 경사적 감소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될 것입니다. 블록체인이 처음과 주요 보안 방법으로 사용되는 반면, 보안에 근거한 AI 딥 러닝은 이중 방어 시스템을 보장할 것입니다.

퀀텀 해싱 암호화 레이어

블록체인은 해시를 적절하게 사용함으로써 보안을 개선했습니다. 하지만, 컴퓨터 성능이 급격하게 증가함으로써, 커지는 염려가 있습니다. 해시 암호화는 제한을 가질 수 있습니다. 큐브는 자율주행차에 대한 악의적 공격을 예방하기 위해서 양자 암호화를 개발합니다. 양자 암호화는 자율 주행뿐만 아니라 완전한 블록체인 기술의 전반적인 업그레이드 역시 기여할 것입니다.









투명성 정책

큐브는 투명한 운영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큐브는 다음과 같은 확립된 투명성 정책이 있습니다:

1)    큐브는 5개의 전세계적으로 알려지고 믿을 수 있는 회게 법인에 투표를 통해서 공정한 감사를 받습니다.

2)    큐브는 기여자와 함께 회사의 운영 상태를 공유하기 위한 월간 운영 및 재정 보고서를 발행합니다.

3)    새로운 스탭 멤버를 고용할 때, 큐브는 인증 절차를 실행하고 및 후보자의 포트폴리오를 완전히 조사하고, 그들의 능력에 적절한 보상 정책을 정합니다.

4)    회사의 예산은 3년 이상 추가 펀딩없이 항상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엄격하게 관리될 것입니다.

토큰 가치 정책

 참여자를 보호하고, 더 나은 수익을 제공하기 위해서, 큐브는 다음과 같이 운영할 것입니다:

1) 큐브의 임원 관리자는 락업 시스템에 묶여 질 것입니다. 그것은 그들이 1년동안 토큰 판매 자격이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락업 정책은 임원 관리자들이 회사가 충분히 성장한 이후에 적절한 보상을 받는 것을 확실히 하려는 의도입니다.

2)  큐브는 큐브 토큰 가치를 안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 예산 사용을 엄격하게 통제할 것 입니다. 적어도 초기 예산의 3분의 2는 펀딩 1년 후에 남겨져야 합니다. 어떠한 단독 이벤트에 초기 예산의 3분의 1 이상 사용은 적어도 위원회와 투표에 참여하는 참여자의 절반 승인이 요구됩니다.



Jump to: